스타트업 5

2025년 스타트업 정부지원사업 가이드

1. 정부지원사업의 중요성스타트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정부지원사업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매년 연초가 되면 신규 과제들이 공고되므로, 사업분야에 해당하는 부처 사이트에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지원 가능한 사업을 검토해야 한다.정부지원사업이 공고되는 주요 플랫폼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플랫폼대상사업부문지원내용공식 사이트K-Startup예비창업자, 창업자대부분 제한 없음 (전 사업 분야, 직종 지원 가능)융자, 사업화, 기술개발, 시설 및 보육, 글로벌 진출K-Startup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NTIS)연구개발기관연구개발연구개발비용, 인력, 연구자NTIS기업마당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대부분 제한 없음 (전 사업 분야, 직종 지원 가능)융자, 사업화, 기술개발, 시설 및 보육, 글로벌 진출기업마당2. 주요..

🏢스타트업 2025.02.13

스타트업에서의 조직문화 구축(1): 비전, 미션, 가치

스타트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조직문화는 단순한 분위기를 넘어 장기적으로 기업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이다.조직문화는 다소 추상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쉽게 말해 특정 회사를 떠올렸을 때 연상되는 이미지 또한 조직문화의 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삼성하면 ‘파란색, 스마트함, 예리함, 성과주의’ 등의 이미지가 떠오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화가 처음부터 형성된 것은 아니다. 오랜 시간 동안의 의사결정과 기업 운영 방식이 이러한 조직문화를 구축해왔다.조직문화는 대개 기업 리더의 가치관을 반영하여 형성된다. 리더의 사고방식과 행동이 조직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기업의 정체성으로 자리 잡는다. 예를 들어, 보수적인 성향의 리더는 안정성과 전통을 중시하는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고, 이는 점차 ..

🏢스타트업 2025.02.12

입사 시 필요한 필수 서류, 꼭 알아야 하는 노하우와 양식 공유

입사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회사마다 다를 수 있지만, 기술개발 및 연구직의 경우 영업비밀 보호와 관련된 추가적인 서류가 필요할 수 있다. 연구 및 개발 직군은 회사의 핵심 기술과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인 입사 서류 외에도 영업비밀유지계약서 등과 같은 문서가 요구될 수 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기술개발 및 연구 직군에서 필수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주요 입사 서류를 공유해보려 한다.1. 근로계약서근로계약서는 입사 당일 반드시 체결해야 하며, 위반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따라서, 입사 전날 미리 체결하거나, 입사 첫날 출근 즉시 서명을 받아두는 것이 좋다.✅ 근로계약서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정보근무지 및 업무 내용근로 계약 기간 (정규직, 계약직 여부 포함)일정기간 근무 후..

🏢스타트업 2025.02.04

근로자 수에 따른 사업장 체크리스트 (세무, 사회보험, 노무)

스타트업이 성장하면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상시 근로자 수에 따른 다양한 법적 요구사항을 정확히 이행하는 것이다.이 법적 요구사항들은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으로,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 규모가 커짐에 따라 필요한 조치들을 미리 점검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사업장의 인원 규모에 따라 반드시 챙겨야 할 법적 사항들은 다르며, 일반적으로 사업장은 인원 수에 따라 크게 5명 이하, 5~10명, 10~30명, 30~50명, 50~100명, 100명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인원 규모별로 사업장에서 신경 써야 할 세무, 사회보험, 노무 관련 사항들을 정리하여 엑셀 자료를 공유한다. 이를 바탕으로 인원이 늘어나는 시점마다 필요한 법적 의무를 빠짐없이 챙겨, ..

🏢스타트업 2025.02.03

Daily Biz Life, 블로그를 시작하며

어떤 주제로 블로그를 시작할까 고민했다. 내가 잘 알고 있어 글로 설명할 수 있는 주제, 계속 연재할 수 있는 주제, 흥미를 느끼는 주제를 생각해보니, 세 가지 키워드가 떠올랐다. #스타트업 #육아 #일상🏢 스타트업 실무 이야기스타트업 초기 멤버로 입사해 창업 기업의 대부분의 실무 업무를 경험했다. Generalist이자 HR Specialist로서 쌓은 실무 노하우를 정리하면, 스타트업에서 고군분투하는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 같다.나 또한 지금까지의 업무 지식과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기회로 삼아보려 한다.특히 초기 스타트업의 사무직은 인사, 총무, 법무, IR, 연구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창업 연차와 직원 규모에 따라 신경 써야 할 일들도 점점 늘어난다. ..

카테고리 없음 2025.02.03